투자정보 본문
기업지배구조
기업지배구조 메뉴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과의 차이
기업지배구조(Corporate Governance)
기업 경영의 통제에 관한 시스템으로 기업 경영에 직접·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주주·경영진·근로자 등의 이해 관계를 조정하고 규율하는 제도적 장치와 운영기구를 말합니다.
즉 기업의 소유구조뿐 아니라 주주의 권리·주주의 동등 대우·기업지배구조에서 이해관계자의 역할·공시 및 투명성·이사회의 책임 등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핵심 원칙 | 모범규준 권고안 | 이행 여부 | 실행안 | |
---|---|---|---|---|
주주 |
주주의 권리 |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
X |
보다 완결성 있고 상세한 재무정보를 제공하고자 주주총회 22일 전에 소집공고 시행 |
주주 |
주주의 권리 |
전자투표 실시 |
O |
2015년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 도입 및 활용 |
주주 |
주주의 권리 |
주주종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
O |
2018년부터 주주총회 분산을 위한 자율준수프로그램 참여 및 집중일 이외 개최 |
주주 |
주주의 권리 |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
X |
중장기적 주주환원정책은 수립하지 못했으나, 지난 6년간 매년 약 100억원 수준의 현금 배당 결정을 공시하고 실시 |
이사회 |
이사회 기능 |
최고경영자 승계정책(비상시 선임정책 포함) 마련 및 운영 |
X |
최고 경영자 승계에 관한 명문화된 정책 부재 |
이사회 |
이사회 기능 |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
X |
리스크 관리, 준법경영, 내부회계관리, 공시정보관리 등 내부통제 관리제도를 마련하고 있으나 회사 전반을 아우르는 명문화된 리스크 관리 정책 부재 |
이사회 |
이사회 구성 및 이사선임 |
이사회 의장과 대표이사 분리 |
X |
대표이사가 아닌 사내이사가 이사회 의장 |
이사회 |
이사회 구성 및 이사선임 |
집중투표제 채택 |
X |
정관 상 집중투표제 배제 |
이사회 |
이사회 구성 및 이사선임 |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
O |
관련정책 마련 및 준수 |
이사회 |
이사회 구성 및 이사선임 |
6년 초과 장기재직 사외이사 부존재 |
O |
6년 초과 장기재직 사외이사 없음 |
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에 대한 연 1회 이상 교육 제공 |
O |
연 1회 이상 내부감사기구 대상 교육 제공 |
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 |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의 설치 |
X |
재무기획실 소속 감사위원회 지원 조직 운영 중 |
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
O |
감사위원회 위원장을 회계/재무 전문가로 선임 중 |
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
O |
매분기 1회 이상 회의 개최 |
감사기구 |
내부감사기구 |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지 여부 |
O |
감사위원회 직무규정으로 절차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