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007년 08월 21일
다음, 사용자 집단지성의 대표격 위키백과 서비스 전격 개시
공유하기
- 다음, 위키피디아의 한국어/영어판 검색 결과 동시 제공
- 일원화된 전문 지식콘텐츠와 함께 사용자가 생산한 살아있는 UCC 정보를 한자리에
2007-08-2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전문 검색결과 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경험적 지식이 집대성된 위키피디아의 지식정보까지 한번에 검색할 수 있는 정보 공유의 시대가 활짝 열렸다.
다음커뮤니케이션(www.daum.net)은 기존의 사전적 지식만을 제공해 온 포털 백과사전 검색 기능을 탈피, 사용자 집단 지성의 결정체인 위키피디아 정보까지 검색 할 수 있도록 한 백과사전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포털 최초로 위키피디아 한국판/영어판 동시 검색 기능을 추가한 다음 백과사전 서비스는 브리태니커 사전의 전문적인 정보와 함께 전문용어 대역사전/IT용어 사전 등 약 200만 여개의 표제어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범위를 대폭 확장하는데 주력했다.
특히 이번 개편의 주안점으로는 위키피디아의 검색 결과를 다음 백과사전 內에서 직접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다. 이로써 사용자들은 위키피디아의 영어판과 자국어 판을 각각 이동하며 해당 결과를 일일히 확인해야했던 불편함을 한 번에 해소하며, 다음 백과사전을 통해 보다 균형 있는 풍부한 지식을 접할 수 있게 됐다.
다음측은 이번 위키백과사전의 결합은 사용자들이 직접 축적한 경험 지식들을 공유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작업으로 UCC 정보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계기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음은 사용자들의 검색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동일한 항목간의 “직접링크 방식“ 도입 ▶검색키워드의 한-영 자동 번역 기능 ▶관련 단어에 대한 확장 검색을 지원하는 “태그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다.
“직접링크“ 방식은 브리태니커와 위키피디아 정보 중 동일한 항목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호 보완하고자 링크 방식으로 해당 검색 콘텐츠를 연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조’를 검색하면 브리태니커에 있는 ‘정조’에 관한 정보와 위키피디아의 ‘조선 정조’ 내용을 다음 백과사전 안에서 한번에 읽어볼 수 있도록 링크로 연결해 두 개의 사전을 번갈아 검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음 검색의 특징인 자연어처리기술((NLP: Natural Language Process)을 적용, 한글로 검색어를 입력해도 영어판 위키피디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키워드의 “한영 자동번역“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소설 “어린왕자“를 검색할 경우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The Little Prince“ 검색 결과까지 한번에 제공하는 것.
다음 손경완 검색본부장은 “이번 개편은 기존 사전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용자들의 지식과 경험을 통해 생성된 살아있는 지식을 다룬다는 점에서 백과 사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보인다."며 "다음 검색만의 차별화 된 UCC 검색 서비스의 영역을 점차 확대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한층 더 강화해 나가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위키피디아 서비스는 전 세계 약 200여 개 언어로 현재 400 만 콘텐츠가 자발적으로 게재되는 등 웹 2.0의 대표 정신인 참여와 공유를 직접 실현해 나가고 있다.
- 일원화된 전문 지식콘텐츠와 함께 사용자가 생산한 살아있는 UCC 정보를 한자리에
2007-08-21.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전문 검색결과 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경험적 지식이 집대성된 위키피디아의 지식정보까지 한번에 검색할 수 있는 정보 공유의 시대가 활짝 열렸다.
다음커뮤니케이션(www.daum.net)은 기존의 사전적 지식만을 제공해 온 포털 백과사전 검색 기능을 탈피, 사용자 집단 지성의 결정체인 위키피디아 정보까지 검색 할 수 있도록 한 백과사전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포털 최초로 위키피디아 한국판/영어판 동시 검색 기능을 추가한 다음 백과사전 서비스는 브리태니커 사전의 전문적인 정보와 함께 전문용어 대역사전/IT용어 사전 등 약 200만 여개의 표제어를 제공함으로써 검색 범위를 대폭 확장하는데 주력했다.
특히 이번 개편의 주안점으로는 위키피디아의 검색 결과를 다음 백과사전 內에서 직접 검색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다. 이로써 사용자들은 위키피디아의 영어판과 자국어 판을 각각 이동하며 해당 결과를 일일히 확인해야했던 불편함을 한 번에 해소하며, 다음 백과사전을 통해 보다 균형 있는 풍부한 지식을 접할 수 있게 됐다.
다음측은 이번 위키백과사전의 결합은 사용자들이 직접 축적한 경험 지식들을 공유할 수 있는 의미있는 작업으로 UCC 정보의 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계기로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다음은 사용자들의 검색 편의성 향상을 위해 ▶동일한 항목간의 “직접링크 방식“ 도입 ▶검색키워드의 한-영 자동 번역 기능 ▶관련 단어에 대한 확장 검색을 지원하는 “태그 검색“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했다.
“직접링크“ 방식은 브리태니커와 위키피디아 정보 중 동일한 항목에 대한 검색결과를 상호 보완하고자 링크 방식으로 해당 검색 콘텐츠를 연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조’를 검색하면 브리태니커에 있는 ‘정조’에 관한 정보와 위키피디아의 ‘조선 정조’ 내용을 다음 백과사전 안에서 한번에 읽어볼 수 있도록 링크로 연결해 두 개의 사전을 번갈아 검색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음 검색의 특징인 자연어처리기술((NLP: Natural Language Process)을 적용, 한글로 검색어를 입력해도 영어판 위키피디아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검색 키워드의 “한영 자동번역“ 기능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가 소설 “어린왕자“를 검색할 경우 영어판 위키피디아의 ‘The Little Prince“ 검색 결과까지 한번에 제공하는 것.
다음 손경완 검색본부장은 “이번 개편은 기존 사전에서 다루지 않았던 사용자들의 지식과 경험을 통해 생성된 살아있는 지식을 다룬다는 점에서 백과 사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보인다."며 "다음 검색만의 차별화 된 UCC 검색 서비스의 영역을 점차 확대함으로써 사용자 만족도를 한층 더 강화해 나가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위키피디아 서비스는 전 세계 약 200여 개 언어로 현재 400 만 콘텐츠가 자발적으로 게재되는 등 웹 2.0의 대표 정신인 참여와 공유를 직접 실현해 나가고 있다.
공유하기
목록 보기
추천 콘텐츠
- 보도자료 발행일 2025.07.02 취향저격 맛집 추천...카카오맵, AI 기반 장소 추천 서비스 ‘AI메이트 로컬’ 출시
#카카오#카카오맵#AI메이트로컬#AI
- 보도자료 발행일 2025.07.04 카카오, ‘프로젝트 단골’ 업무협약 체결,
서울 성북구 시작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본격 추진#ESG#더가깝게카카오#카카오프로젝트단골
- Tech Ethics 책임 있는 AI 개발을 위한 실천, Kanana-1.5-9.8B 안전성 평가 결과 공개
#AISafety#KakaoASI#SafetyBenchmark#Kanana#LLM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