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007년 09월 03일
다음, 색다른 검색 재미 제공하는 ‘검색트렌드’ 사이트 오픈
공유하기
- 1차원적인 검색 기능 넘어 검색 사용자층 분석, 검색 순위, 이슈화 시점 등의 다양한 정보를 한 눈에
2007-09-03. 다음커뮤니케이션(www.daum.net)은 사용자들이 최근 이슈 및 동향 등의 트렌디한 검색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별로 검색 순위를 제공하는 ‘다음 검색트렌드(http://trend.search.daum.net)’ 사이트를 오픈하며 새로운 검색 재미와 정보로서의 가치를 강화했다고 3일 밝혔다.
다음은 단순히 검색어 순위만을 제공하는 1차원적인 검색트랜드 분석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해당 검색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연령/성별/지역 등 다양한 성향을 추출함으로써 네티즌들의 관심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오픈한 검색트렌드 사이트는 ▶인물/영화 등 약 60여 개에 달하는 주제별 인기검색어 ▶ 성별/세대/지역 등 세분화 된 검색어 순위 ▶검색어의 이슈 시점별 관련 뉴스 추출 등을 제공함으로써 색다른 검색 재미와 함께 유용한 정보로서의 가치를 한층 더 높혔다.
무엇보다 최근 6개월 동안의 키워드별 검색추이 그래프를 통해 이슈가 된 시점 뿐 아니라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기사 및 사용자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분석,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한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는 약 2,500만명의 국내 최대 로그인 사용자수를 보유한 다음 플랫폼의 장점을 극대화 한 것.(코리안클릭/7월)
예를 들어 “국내드라마“ 분야의 상위 키워드인 “커피프린스 1호점“을 살펴보면, 4월 드라마 주인 공 캐스팅 뉴스 시점부터 이슈가 되기 시작하며 7월 방영 이후부터는 키워드가 급상승 했음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는 사용자의 73%가 여성이며,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20대가 주요 검색층이라는 것까지 분석해 보여줌으로써 네티즌들의 동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네티즌들의 검색 성향을 일간/주간/월간 등 각 기간별로 세분화 했을 뿐 아니라 성별 및 세대별로도 분석해 보여준다.
이 밖에도 다음은 사용자 트랜드를 공정하게 반영하고자 성인, 스팸광고성 등의 금칙어를 제외하고 있으며, 해당 키워드에 대해 특정 시간 內 동일한 IP에서 집중적으로 검색이 될 경우 검색 횟수로 반영하지 않는 등 정확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 장치를 적용했다.
다음 손경완 검색포털본부장은 “이번 검색트렌트 서비스는 넷심(net心)의 최신 흐름 및 이슈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의미있는 검색 기능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다음은 로그인 기반의 데이터 분석에 대한 강점을 다양한 검색서비스와 연계함으로써 차별화 된 모델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음은 올해 초부터 다음 검색 창에 비교해 보고 싶은 검색어를 최대 3개까지 선정해 단어 사이에 ‘vs’를 넣어 입력하면, 최근 6개월간 네티즌이 어떤 키워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지에 대한 추이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서비스에 반영 해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다.
2007-09-03. 다음커뮤니케이션(www.daum.net)은 사용자들이 최근 이슈 및 동향 등의 트렌디한 검색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별로 검색 순위를 제공하는 ‘다음 검색트렌드(http://trend.search.daum.net)’ 사이트를 오픈하며 새로운 검색 재미와 정보로서의 가치를 강화했다고 3일 밝혔다.
다음은 단순히 검색어 순위만을 제공하는 1차원적인 검색트랜드 분석에서 한 발 더 나아가 해당 검색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연령/성별/지역 등 다양한 성향을 추출함으로써 네티즌들의 관심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오픈한 검색트렌드 사이트는 ▶인물/영화 등 약 60여 개에 달하는 주제별 인기검색어 ▶ 성별/세대/지역 등 세분화 된 검색어 순위 ▶검색어의 이슈 시점별 관련 뉴스 추출 등을 제공함으로써 색다른 검색 재미와 함께 유용한 정보로서의 가치를 한층 더 높혔다.
무엇보다 최근 6개월 동안의 키워드별 검색추이 그래프를 통해 이슈가 된 시점 뿐 아니라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기사 및 사용자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분석,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전달한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이는 약 2,500만명의 국내 최대 로그인 사용자수를 보유한 다음 플랫폼의 장점을 극대화 한 것.(코리안클릭/7월)
예를 들어 “국내드라마“ 분야의 상위 키워드인 “커피프린스 1호점“을 살펴보면, 4월 드라마 주인 공 캐스팅 뉴스 시점부터 이슈가 되기 시작하며 7월 방영 이후부터는 키워드가 급상승 했음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는 사용자의 73%가 여성이며,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20대가 주요 검색층이라는 것까지 분석해 보여줌으로써 네티즌들의 동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네티즌들의 검색 성향을 일간/주간/월간 등 각 기간별로 세분화 했을 뿐 아니라 성별 및 세대별로도 분석해 보여준다.
이 밖에도 다음은 사용자 트랜드를 공정하게 반영하고자 성인, 스팸광고성 등의 금칙어를 제외하고 있으며, 해당 키워드에 대해 특정 시간 內 동일한 IP에서 집중적으로 검색이 될 경우 검색 횟수로 반영하지 않는 등 정확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 장치를 적용했다.
다음 손경완 검색포털본부장은 “이번 검색트렌트 서비스는 넷심(net心)의 최신 흐름 및 이슈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의미있는 검색 기능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다음은 로그인 기반의 데이터 분석에 대한 강점을 다양한 검색서비스와 연계함으로써 차별화 된 모델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음은 올해 초부터 다음 검색 창에 비교해 보고 싶은 검색어를 최대 3개까지 선정해 단어 사이에 ‘vs’를 넣어 입력하면, 최근 6개월간 네티즌이 어떤 키워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지에 대한 추이를 그래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사용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서비스에 반영 해 좋은 반응을 이끌어 냈다.
공유하기
목록 보기
추천 콘텐츠
- 보도자료 발행일 2025.05.06 카카오톡, 생일축하 등 감정표현 키워드에 반응하는 리액션 기능 선보여
#카카오톡#리액션기능#링키파이
- 보도자료 발행일 2025.05.08 카카오,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 CBT 시작
#카카오#카나나#CBT#AI메이트
- 보도자료 발행일 2025.05.01 카카오, 국내 최초 텍스트·음성·이미지 통합 멀티모달 언어모델 'Kanana-o' 성능 공개
#카카오#인공지능모델#통합멀티모달언어모델#카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