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2010년 02월 11일

Digital Subway(디지털 지하철) 시대 열린다

공유하기
노란 바탕 속 검정색 Kakao CI

-  서울시 지하철 1~4호선 역내에  913대 ‘디지털뷰’  설치, 16일부터 순차 오픈
-  46인치 터치스크린에 디지털 지도, 지하철 종합정보, 날씨, 뉴스, 관광 등 실시간 정보 제공
-  IP 폰(인터넷 전화) 서비스 , T머니 결제 시스템도 제공


2010-02-11,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오는 16일 IP 텔레포니 시스템 공급업체 ㈜핑거터치 (대표 신정헌)와 공동으로 서울 1~4호선의 모든 지하철 역(117개역)에 지도, 뉴스, 엔터테인먼트 등 실시간 정보와 IP폰(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시스템 ‘디지털뷰’  900여대를 설치, 오픈한다고 밝혔다. PC, 모바일 등 주로 퍼스널 디바이스에서 경험하던 인터넷 주요 서비스를 지하철 역내에서 공공시설물을 통해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디지털 서브웨이(Subway)’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됐다. 


디지털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국내 최고 해상도 항공사진인 '스카이뷰'와 서울 전 지역 360도 파노라마 거리사진인 '로드뷰' 등 ◀지도 정보(주변버스노선, 추천맛집, 가볼만한 곳, 공공시설, 병원/의료시설 등), ◀역내정보 (역내주요시설물, 역내지도, 편의시설 등), ◀노선정보 (최단거리 찾기, 역 주변지도 등), ◀실시간 정보 (실시간 이슈 검색어, 뉴스, 스포츠, 날씨, 증권, 환율 등), 다음영화, 다음부동산, 스포츠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이다. 다음은 웹을 통해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를 디지털뷰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 콘텐츠를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T머니 카드를 이용해 실시간 영화표 예매 등이 가능한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변 상점들의 쿠폰도 제공된다. 시민들은 핸드폰으로 쿠폰을 촬영해 주변 상점에서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뷰는 이 밖에도 IP폰(인터넷 전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디지털뷰는 46인치 메인터치스크린과 17인치 보조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었으며, 메인 스크린은 지도, 실시간 정보 등 주요 콘텐츠가 제공되고, 보조 스크린에는 인터넷 전화 사용, 영화표 예매 등을 위한 T머니 결제 창이 보여진다. 강남역, 삼성역, 명동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 1~4 호선의 117개 모든 역사에 총 913대가 설치되며, 오는 16일부터 순차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디지털뷰가 설치되는 1~4호선은 서울시 및 수도권 지역의 450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16일로 창립 15주년을 맞는 다음커뮤니케이션은 IT컨버전스의 흐름에 발빠르게 대응하면서  PC, 모바일, IPTV 등으로 다음의 이용자 접점을 확대하는 ‘Life On Daum’ 전략을 추진해 왔다. 이번에 디지털뷰를 오픈함으로써 다음의 이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다음 서비스를 만날 수 있게 됐다. 


다음의 최세훈 대표는 “디바이스 간 경계가 허물어 지는 디지털 컨버전스 혁명이 우리의 일상 생활을 하루가 다르게 바꾸고 있다.” 며  “다음이 기존의 PC와 모바일 뿐만 아니라 디지털뷰까지 확대됨으로써 모든 스크린에서 이용자들이 ‘On Daum’ 할 수 있는 생활 플랫폼으로, 광고주에게는 브랜딩과 이익에 기여하는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거듭 나게 됐다” 고 말했다. 


지난 1월말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가 디지털 사이니지 제휴를 체결하는 등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타고 있으며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시장규모는 올해 약 1,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공유하기
목록 보기
추천 콘텐츠